오늘부터 민족 최대의 명절이 시작되는 추석 연휴입니다. 2020년 추석은 5일이란 긴 연휴가 있어 여행을 가는 분도 많다는데요. 그래도 작년 추석보다는 여행을 안갈 듯 합니다. 가족과 친척들과의 만남도 덜할걸로 예상이 되는데요.
이유는 비대면 추석, 방문 자제를 해줬으면 하는 것이 정부의 바램이며, 서로 조심해야 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랍니다.
제사는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을 말하는데요.
제사는 집에서 보내지만, 차례는 성묘에 가서 지내는 경우도 있죠.
추석이나 설 명절이 되면 어머니들이 직접 요리를 해서 정성껏 차례상에 올렸던 모습이 생각이 납니다.
요즘은 업체에 맡겨 간단히 차례상차림을 올리는 집들도 많이 있는데요.
차례상차림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열은 술잔, 시접, 조상님의 수만큼 밥과 국, 설날에는 떡국, 추석은 송편을 준비합니다.
2열은 육전, 육적, 소적, 어적 등의 생선과 고기를 두는데,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동두서미로 생선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배치를 합니다.
3열은 탕류를 올리는데요. 육탕(고기), 어탕(생선), 소탕(두부탕)등을 올립니다. 탕의 개수는 홀수이구요.
4열은 좌포우혜 순으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 그리고 중간에는 삼색나물을 올립니다.
마지막 5열은 대추, 밤, 배, 곶감을 붉은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올립니다.
사과나 배, 위아래를 잘라 올리고, 밤은 껍질을 벗겨 올리는데요.
위 내용만 봐도 정말 손이 많이 간다는 것을 느껴집니다.
그래서 명절중후군이란 말도 나오는 거 같은데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을 본 BTS와 선수단의 반응은? (0) | 2022.02.08 |
---|---|
추석음식 종류 몇 가지 장만하세요? 간단 레시피 정리 (0) | 2020.09.30 |
2020년 추석 달라진 점 (0) | 2020.09.05 |
국민연금 미납하면 불이익 발생, 해결 방법 알아보기 (0) | 2020.09.03 |
재택근무 관련 근로시간과 수당 산정은?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