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운동 부족병?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by <!!> 2020. 8. 31.

 

 

근육의 70%가 하반신에 있는 인간은 다리가 튼튼한 동물에 해당된다.

 

인체의 중심은 배꼽으로 건강한 사람은 배꼽을 경계로 위는 따뜻하고 아래는 차갑다.

 

운동은 체력의 유지, 향상을 위해서 꼭 필요합니다.

운동의 목적은 조금씩 다를 수는 있으나, 운동을 통해 얻게 되는 결과는 같습니다.

 

바로 건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요즘 밥을 안 먹어도 나오는 배를 보니 운동을 정말 해야겠단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운동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생활을 하다보면 운동할 시간이 없다는 말을 많이들 합니다.

쌓여가는 일과 해도 해도 끝이 나지 않는 집안일...

그러다 보면 운동을 게을리하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운동 부족병을 나타나게 합니다.

 

 

운동부족병이 뭔가요?

 

운동부족병은 운동이 부족해 생길 수 있는 만성 성인병을 말합니다.

 

운동부족병이 생기지 않으려면 바쁜 생활에도 신경을 써야 되는데요.

꾸준하게 운동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도 운동부족병은 아니더라도 운동 부족이랍니다.

 

운동을 안하니까요.  이래 저래 핑계만 대면 안되어서 시작을 하려 합니다.

 

운동부족으로 인한 성인병 예방 위해 하루 20~60분이면 충분하다는데

가볍게 걷는 것부터 시작하면 좋겠네요.

 

건강 검진을 받으러 갔을 때 꼭 체크하는 것이 있는데,

 

 

운동을 일주일에 얼마나 하는 것이었어요.

체크하기가 참 민망하던데, 조금 힘든 정도로 약간 땀이 날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는데

짧은 시간으로 잡고 시작을 해야겠어요.

 

가끔 계단을 걸어 올라가거나 내려가기를 하는데, 그걸 더 자주 해볼까 생각이 드네요.

 

운동부족병 예방을 위한 추천 운동시간(일주일 기준)은 WHO권고안에 따르면 150분 정도 중간 정도의 유산소 운동, 75분 이상의 격렬한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좋다고 합니다.  하루에 이 시간이면 좀 부담될 거 같은데, 일주일에 이 시간이면 할 수 있겠지요?

 

이 포스팅 마치고 운동하고 와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