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하다보면 최적화를 꿈꾸는데요. 티스토리는 다음과 구글 검색 유입도 중요하죠?
구글 검색 유입을 올리는 방법으로는 구글 서치 콘솔을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그런데 유효한 페이지 0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 방법을 해결을 해야 될텐데,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기
티스토리의 구글 최적화 문제를 해결을 하려면 구글 서치 콘솔을 접속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rss와 사이트 맵을 등록한 후, 스킨 편집의 html에서 메타태그를 등록합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검색이 되지 않고, 유입도 되지 않았는데요.
site: 티스토리 주소를 검색을 하여 나오면 잘 등록이 되었는지 확인이 됩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검색이 안된다면 해결을 해야겠네요.
내가 쓴 글이 누락이 되었다면 url 검사 기능을 이용해 직접 구글에 등록할 수 있는데요.
url 검사 기능을 클릭한 후 포스팅한 글 주소를 넣어주면 됩니다.
한 개의 url을 올려 검사를 했습니다.
goole 색인에서 테이터 가져오는 중이라며 찾는 것이 보입니다.
등록한 url 포스팅은 나오는데, 나머지 전체 포스팅이 나오질 않고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을 또 올려보았는데, 검색이 됩니다.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를 더 자세히 보았는데, url은 구글에 등록이 되었지만 사이트맵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인 생성 범위 내용을 보면 "제출되고 색인이 생성되었습니다" 이렇게 떠야 되는데, 말입니다.
사이트맵 재등록하기
제출된 사이트맵을 보니 사이트탭이 성공이라 나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 사이트맵을 삭제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점3개의 버튼을 눌러 사이트맵 삭제를 합니다.
그리고 새 사이트맵 추가를 합니다.
새 사이트맵 추가에 기존에 있던 sitemap의 링크를 복사합니다.
attach부분부터 복사를 해서 붙여넣기 한 후 제출버튼을 눌러줍니다.
색인 생성 범위를 확인하면 오류가 있는 페이지 0개, 유효한 페이지 0개로 나왔었는데,
사이트맵을 재등록하니 포스팅한 갯수 44개가 다 나오고 있네요.
그래프도 반영이 되었구요.
클릭도 1회 반영이 되었습니다.
구글에서 site :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포스팅한 티스토리가 나옵니다.
사이트맵과 rss를 서치콘솔에 등록하여 성공으로 나왔다 하더라고 꼭 다른 부분까지 잘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함을 느꼈는데요.
며칠을 기다려도 구글에 노출이 되지 않아 직접 해결하였는데요.
티스토리를 하면서 구글 최적화는 필요한 부분이라 이렇게 직접 해결을 하는 방법을 진행하였습니다.
혹 저와 같이 이런 경우를 겪고 계신 분이 계신다면 위 방법을 따라하면서 꼭 해결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라이트 교체, LG 모니터 하얀 점 발생 무료로 서비스 받았어요. (0) | 2020.08.25 |
---|---|
컴퓨터와 모바일에서 크롬 시크릿모드 실행 방법 (0) | 2020.08.25 |
작업 표시줄에 파일과 폴더 고정하는 방법 (0) | 2020.08.24 |
블로그 속도 분석하는 사이트 3개 찾아 측정 (0) | 2020.08.24 |
윈도우 10 모니터, 컴퓨터 절전 모드 해지하는 방법 (0) | 2020.08.23 |